플러스관상학
플러스관상[가입] 로그인 / 회원가입   검색     


만세력
플러스만세력
운세력
플러스운세력
오늘운세
오늘의운세
단식운세
단식운세
일주운세
일주운세
월운세
일주월운세
띠운세
월운띠운세
생일변환
생일간지변환
행운번호
행운숫자찾기
명리학
명리학탐구
당사주
플러스당사주
토정비결
플러스토정비결
매화역수
매화역수
구성학
플러스구성력
부부궁합
플러스부부궁합
일주궁합
플러스일주궁합
동업궁합
플러스동업궁합
띠궁합
플러스띠궁합
한자사전
플러스한자사전
좋은이름
좋은이름찾기
이름짓기
플러스작명
이름풀이
플러스감명
아호짓기
플러스아호
취기일
취기일
구성달력
구성달력
손없는날
손없는날달력
이사택일1
플이사택일1
이사택일2
이사택일2
띠별방위
띠별이사방향
두침방향
띠별두침공부방향
출산택일
출산택일
입태택일
입태택일
명리조견표
명리학조견표
타로
플러스타로
손금보기
플러스손금
관상보기
플러스관상
풍수지리
플러스풍수
명리사전
명리학사전
자미두수
플러스자미두수
포인트
포인트확인
유튜브
유튜브_사주플러스채널
아이티
아이티모아


    
관상학자료실
페이지: 1∨gcstyle= / 8   

 안면12궁(12) - 직장운과 관직운을 포함하는 관록운
댓글:(123) 열람:13253   2020.02.04


 안면12궁(11) - 재물의 정도와 인덕, 명예와 승진운을 나타내는 복덕궁
댓글:(91) 열람:12123   2020.01.29


 안면12궁((10) - 건강과 질명을 판단하는 척도 질액궁
댓글:(66) 열람:14940   2020.01.23


 안면12궁(9) - 대인관계와 인덕을 살피는 노복궁
댓글:(65) 열람:9134   2020.01.21


 안면12궁(8) - 부부생활과 자녀복을 판단하는 남녀궁
댓글:(88) 열람:20115   2020.01.18


 안면12궁(7) - 이성간이나 배우자 복을 나타내는 처첩궁
댓글:(124) 열람:21443   2020.01.17


 안면12궁(6) - 형제간의 우애와 복을 나타내는 형제궁
댓글:(30) 열람:7953   2020.01.16


 안면12궁(5) - 부모운을 살피는 이마 좌우의 일월각
댓글:(21) 열람:9905   2020.01.15


 안면12궁(4) - 집과 땅, 재물운의 근간인 눈두덩
댓글:(64) 열람:14106   2020.01.14


 안면12궁(3) - 자아와 체력, 재물운을 판단하는 재백궁
댓글:(55) 열람:10625   2020.01.09



  [1]  [2]  [3]  [4]  [5]  



[복채를 내지 않으면 복이 달아납니다]

사주플러스는 사람의 운명을 연구하는 철학 사이트 입니다..
이용하시는 분들은 자신을 위해서라도 복채를 지불하셔야 합니다..
사이트의 홍보나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유용한 글 등
복채론1,   복채론2
사이트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어떤 방법도 좋습니다.
사이트 이용이 도움이 되었다면 자신의 그릇 크기에 따라
자신이 생각한 방법으로 적절한 댓가를 지불하시기 바랍니다.
복수단어 검색은 공백(space)로 구분해 주세요.




공지사항 [손님]

질문답변마당 [손님]


최근 글 [손님]

인기 글 [손님]

사주풀이마당[손님]

궁합풀이마당[손님]

유명인사주풀이[손님]



최근 댓글[손님]
[grc0] 금수쌍천이라고 100% 확언할 수 있을까요? 금수쌍천처럼 보일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금수쌍천이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어 보이지요... 시간 임수의 근이 있나요? 올라온 곳이 없지요... 오 중 병화나 정화가 천간에 올라가 있지 않지요... 이런 사주가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예를들어 보면 을사년 정해월 경자일 임오시라고 한다면... 월지 해 중 임수가 시간 임수로 올라갔고, 시지 오 중 정화가 월간 정화로 올라갔고, 년지 사 중 경금이 일간 경금으로 올라갔고, 일지 자수가 상관이고, 이 자 중 임수가 시간 임수로 올라갔으니 금수쌍천으로 볼수 있지요... 즉, 일간 경금의 근이 있어야 하고, 경금 입장에서 임수(상관)의 근이 있어야 하고... 경금 입장에서 관성.. 즉, 화.. 이겠지요... 이게.. 천간에 나와 있다면... 금수쌍천의 총명함이 깃들겠지요.... 목화통명이나 금수쌍천이나.. 모두.. 일간의 근이 있고.. 식상의 근이 있을때... 해당되지요... 금침수다? 수다금침..일텐데... 수가 많아서.. 금이.. 가라앉는다는 뜻으로... 녹물로 보는데... 저 사주.. 또한 수다금침으로.. 보기.. 어렵지요... 경금이.. 계수를 보면.. 녹쓴다.. 머.. 그렇게 보는 분들도 있는데... 예를들어.. 경금 일간에... 월간에.. 계수가 있고.. 년간에.. 을목이 있다면... 금생수 -> 수생목.. 으로.. 가는데.. 을목(정재)가.. 녹물을.. 수생목.. 받으니... 이 을목(정재)가.. 뜻하는 바를 잘 봐야 하는거지요... 이 정재가.. 부친이라면... 부친과의 관계를 잘 봐야 한다.. 머.. 그런거지요... 어디까지나... 단식... 예시일뿐입니다... 저 사주는.. 금수쌍천이나.. 수다금침보다... 여명이라면... 일간 경술... 술토에.. 입묘되는 오행을.. 먼저 알아보시는게.. 도움이 되시지 않을까.. 싶네요...

생활의지혜 [손님]

세상사는이야기 [손님]

자유마당 [손님]